1972 뮌헨 올림픽/축구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1972 뮌헨 올림픽



--

파일:1972 뮌헨 올림픽 로고.svg
올림픽 축구
파일:1972 뮌헨 올림픽 픽토그램 컬러.svg
대회기간1972년 8월 27일 ~ 9월 10일
본선 진출국16개국
우승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준우승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3위
파일:트위터 동메달 이모지.svg
파일:동독 국기.svg 동독 |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1]
득점왕파일:폴란드 국기.svg 카지미에시 데이나 | 9골
이전·이후 대회
1968년
멕시코시티
1972년
뮌헨
1976년
몬트리올

1. 개요
2. 경기장
3. 본선 진출국
4. 조 편성
4.1. 조 편성 결과
5. 선수 명단
6. 대회 진행
6.1. 1차 조별리그[16강]
6.2. 2차 조별리그[8강]
6.3. 메달 결정전
7. 최종 순위
8. 여담


1. 개요[편집]


1972 뮌헨 올림픽축구 종목에 대하여 서술하는 문서.


2. 경기장[편집]



3. 본선 진출국[편집]


대륙국가예선 대회대회 성적티켓 수통산 진출최근 진출최고 성적
유럽
(UEFA)
파일:독일 국기.svg서독개최국1장3회[2]19564위
파일:헝가리 국기.svg헝가리전 대회 우승국1장8회1968금메달
파일:소련 국기.svg소련1972 뮌헨 올림픽
유럽 지역예선
최종예선 1조 1위4장3회1956금메달
파일:폴란드 국기.svg폴란드최종예선 2조 1위5회19604위
파일:동독 국기.svg동독최종예선 3조 1위2회1964동메달
파일:덴마크 국기.svg덴마크최종예선 4조 1위7회1960은메달
남미
(CONMEBOL)
파일:브라질 국기.svg브라질1971 CONMEBOL 프레-올림픽
토너먼트 콜롬비아
우승2장5회19688강
파일:콜롬비아 국기.svg콜롬비아준우승2회1968조별
북중미
(CONCACAF)
파일:멕시코 국기.svg멕시코1972 CONCACAF 프레-올림픽 토너먼트[3]우승2장5회19684위
파일:미국 국기.svg미국준우승7회19568강
아프리카
(CAF)
파일:모로코 국기.svg모로코1972 뮌헨 올림픽
아프리카 지역예선
최종예선 1조 1위3장2회1964조별
파일:가나 국기.svg가나최종예선 2조 1위3회19688강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수단최종예선 3조 1위첫 진출--
아시아 (AFC)
오세아니아 (OFC)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말레이시아1972 뮌헨 올림픽
아시아 - 오세아니아 지역예선
1조 1위3장첫 진출--
파일:버마 연방 국기.svg버마[4]2조 1위첫 진출--
파일:팔라비 왕조 국기.svg이란3조 1위2회1964조별
  • 대회가 서독에서 열리고 동독이 유럽 예선을 돌파하고 본선에 진출해 역사상 처음으로 국제 축구대회에서 두 분단국이 나란히 본선에서 경쟁하게 되었다. 1964년 도쿄 올림픽 예선까지는 독일 단일팀이 출전했어야 했는데, 그냥 동서독이 플레이오프를 통해 이긴 팀이 독일 대표로 유럽 예선에 참여할 수 있었고, 1968년부터 동독과 서독이 올림픽에 따로 나가기 시작하게 된 뒤 4년만에 나온 진풍경이다. 이게 서막이었는지 2년 뒤 같은 국가에서 열린 FIFA 월드컵에서도 두 독일은 나란히 본선에 올랐고, 심지어 같은 조에 배정받게 된다.

4. 조 편성[편집]



4.1. 조 편성 결과[편집]



5. 선수 명단[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1972 뮌헨 올림픽/축구/참가팀 정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 대회 진행[편집]



6.1. 1차 조별리그[16강][편집]



6.1.1. A조[편집]


순위팀명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독일 국기.svg서독300130+136
2파일:모로코 국기.svg모로코11163+33
3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말레이시아10239-62
4파일:미국 국기.svg미국012010-101
결선 진출 | 탈락


6.1.2. B조[편집]


순위팀명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소련 국기.svg소련30072+56
2파일:멕시코 국기.svg멕시코20134-14
3파일:버마 연방 국기.svg버마1022202
4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수단00315-40
결선 진출 | 탈락

6.1.3. C조[편집]


순위팀명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헝가리 국기.svg헝가리21092+75
2파일:덴마크 국기.svg덴마크20174+34
3파일:이란 국기.svg이란10219-82
4파일:브라질 국기.svg브라질01246-21
결선 진출 | 탈락


6.1.4. D조[편집]


순위팀명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폴란드 국기.svg폴란드300112+96
2파일:동독 국기.svg동독201113+84
3파일:콜롬비아 국기.svg콜롬비아102512-72
4파일:가나 국기.svg가나003111-100
결선 진출 | 탈락


6.2. 2차 조별리그[8강][편집]



6.2.1. 1조[편집]


순위팀명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헝가리 국기.svg헝가리30081+76
2파일:동독 국기.svg동독201104+64
3파일:독일 국기.svg서독01248-41
4파일:멕시코 국기.svg멕시코012110-91
결승전 | 동메달결정전 | 탈락


6.2.2. 2조[편집]


순위팀명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폴란드 국기.svg폴란드21082+65
2파일:소련 국기.svg소련20182+64
3파일:덴마크 국기.svg덴마크11146-23
4파일:모로코 국기.svg모로코003111-100
결승전 | 동메달결정전 | 탈락


6.3. 메달 결정전[편집]



6.3.1. 메달 결정전[편집]





7. 최종 순위[편집]



1972 뮌헨 올림픽 남자축구 우승국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첫번째 우승


8. 여담[편집]


  • 2년 뒤 서독에서 열리는 1974 FIFA 월드컵 서독 대회를 준비하는 차원에서 월드컵 방식대로 대회 룰이 변경되었다. 16강 조별리그 후 곧장 8강 토너먼트로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8강에서 2차 조별리그를 가져 조 1위가 금메달결정전에, 조 2위는 동메달결정전으로 진출하는 시스템으로, 74년 월드컵에서 처음 쓰일 예정이었고, 이를 뮌헨 올림픽 축구에서 시범적으로 먼저 도입한 것이다.
  • 동메달 결정전에서 소련과 동독이 만나 승부를 가리지 못하고 공동 동메달을 수상했다. 당시에는 승부차기 제도가 올림픽 축구에 도입되지 않아서 메달 결정전에서는 연장전까지 무승부면 그냥 공동 순위 처리했다. 그런데 2017년, 당시 소련 대표팀 주치의로 참여했던 인물이 소련과 동독이 서로 승부를 조작하고 공동 동메달을 받기로 일부러 비겼다는 양심고백을 하면서 파문을 낳았던 적이 있다.
  • 서독과 동독이 2차리그에서 만나게 되었다. 역사적인 첫 독일 더비에서 사실상의 국가대표팀인 동독이 유망주 위주로 구성된 서독에게 3-2 신승을 거두고 동메달결정전에 진출했다. 이후 2년 뒤에 월드컵에서 다시 만난 두 팀은 서독이 완벽한 정예멤버로 나왔음에도 불구하고 동독이 1-0으로 이겼다. 서독으로써는 충격적인 2연패였다.[5]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5 19:15:59에 나무위키 1972 뮌헨 올림픽/축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공동 동메달[16강] A B [8강] A B [2] 분단 이전까지 세면 6회[3] 개최국 없이 홈앤드 어웨이 조별 풀리그로 진행되었다.[4] 지금의 미얀마[5] 서독은 72 올림픽에선 메달 결정전에도 가지 못하고 탈락했지만, 다행스럽게도 74 월드컵에선 우승을 차지한다.